◦ 주제: 기록자료의 활용과 민속 연구
◦ 일시: 2025년 8월 8일(금) ~ 9일(토)
◦ 장소: 국립경국대학교(구 안동대학교) 창의인재관 1층 1103호
◦ 주최/주관: 실천민속학회, 국립경국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 4단계 BK21교육연구팀,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
일정 | 8월 8일(금) |
10:30~10:40 | 개회사: 이진교(실천민속학회장) | ||
제1세션 | 사회 | 김달현(국립경국대) | |
10:40~11:20 | 조선조『서운관지(書雲觀志)』수록 명과학(命課學) 전공서(專攻書) 분석 | 발표 | 김만태 (한국명리성명학회) |
토론 | 권익기 (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) | ||
11:20~12:00 | 마을문서에 담긴 농악문화사 | 발표 | 송기태(국립목포대) |
토론 | 한양명(국립경국대) | ||
12:00~13:30 | 휴식 | ||
제2세션 | 사회 | 안진수(국립경국대) | |
13:30~14:10 | 한국수산지 (韓國水産誌)를 통해 본 수산물 통계 조사 | 발표 | 서경순 (국립부경대) |
토론 | 심민정 (동명대) | ||
14:10~14:50 | 『조선총독부통계연보』를 통한 어촌민속 읽기: 강원도 사례연구 | 발표 | 문혜진 (부산대) |
토론 | 신상원 (인제대) | ||
14:50~15:30 | 조선총독부가 간접적 방법으로 조사한 민속조사 보고서의 현황과 과제 | 발표 | 김광식 (충남대) |
토론 | 남근우 (동국대) | ||
15:30~15:50 | 휴식 | ||
제3세션 | 사회 | 강석민(국립경국대) | |
15:50~16:30 | 19세기 중엽 이후 식민지기 거제 다대마을의 해세(海稅)와 관청곽(官廳藿) 운영 | 발표 | 허모영 (동아대) |
토론 | 이광우 (영남대) | ||
16:30~17:10 | 왜 마을 단위 조직이 필요했나 : 1945-60년 장흥 신상리 동계의 존재양상과 역할 | 발표 | 이민재 (국립목포대) |
토론 | 강성복 (충남대) | ||
17:10~17:50 | 1950년대 구산리(邱山里) 회계문서를 통해 본 마을 운영의 두 층위 : 마을 자치와 국가의 통치 사이에서 | 발표 | 이중구 (국립경국대) |
토론 | 이진교 (국립경국대) | ||
17:50~18:00 | 총회 |
일정 | 8월 9일(토) |
제4세션 | 사회 | 이은정(영남대) | |
10:00~10:40 | 일제강점기 단오 운동회의 개최와 지역축제적 면모 -김남천의 소설 『대하(大河)』를 중심으로- | 발표 | 김유진 (국립경국대) |
토론 | 배영동 (국립경국대) | ||
10:40~11:20 | 1960-80년대 서천의 상례에서 지방 유지의 역할과 교회의 대두 | 발표 | 이도정 (전북대) |
토론 | 안승택 (경북대) | ||
11:20~12:00 | 결혼사진으로 본 20세기 후반 예식장 화촉점화의 의례화 | 발표 | 노영미 (국립경국대) |
토론 | 권혁희 (강원대) | ||
12:00~13:30 | 휴식 | ||
일반 발표 1 | 사회 | 이진교( 국립경국대 ) | |
13:30~14:10 | 도시 마을농악의 유산화 과정: 동제의 복원을 중심으로 | 발표 | 김유신 (영남대) |
토론 | 서별 (국립경국대) | ||
14:10~14:50 | 굿판에 선 국악전공자의 생계 방략 연구 - 생업으로서의 굿 전승 활동을 중심으로 - | 발표 | 김지혜 (국립경국대) |
토론 | 김구한 (울산역사연구소) | ||
14:50~15:10 | 휴식 | ||
일반 발표 2 | 사회 | 이중구(국립경국대) | |
15:10~15:50 | 서울 고급 중국요리의 한국화 과정 | 발표 | 왕단청 (한중연) |
토론 | 박선미 (국립경국대) | ||
15:50~16:30 | LA 풍물패 '놀이'를 통해 본 한인 공동체의 양상과 가치 | 발표 | 최스칼렛 (국립경국대) |
토론 | 이승훈 (국립경국대) | ||
16:30~16:40 | 폐회사 |